엑스알피(XRP, 리플) 믿을만한가?
행복한곰의 경제뉴스
행복한곰의 건강 칼럼
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XRP vs 스텔라루멘(XLM) 비교 — 설명형 표로 알아보기

비교 항목 XRP (리플) XLM (스텔라루멘)
출시 시기 2012년, 리플(Ripple Labs)이라는 회사에서 출시. 암호화폐 1세대에 해당함. 2014년, 스텔라 재단(Stellar Foundation)에서 출시. 리플 공동창업자가 따로 나와 만든 프로젝트.
개발 목적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들이 빠르게 국제 송금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짐. 개인 사용자들이 해외로 돈을 보낼 때 저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됨.
대상 사용자 기관 고객(은행, 핀테크 기업, 대형 거래소 등) 일반 사용자(개인 간 송금, 마이크로 결제 등)
창립자 크리스 라센 & 제드 맥케일럽. 제드는 후에 리플을 떠나 스텔라를 설립함. 제드 맥케일럽. 리플 공동창업자였지만 비전 차이로 스텔라를 따로 세움.
속도와 수수료 3~5초 내에 거래 완료 가능, 수수료는 평균 $0.0002 수준. 매우 빠르고 저렴함. XRP와 거의 비슷한 속도(약 5초 이내), 수수료는 약 $0.00001로 더 저렴함.
합의 방식 RPCA(Ripple Protocol Consensus Algorithm)라는 방식 사용. 빠르지만 중앙화 논란 있음. SCP(Stellar Consensus Protocol)라는 독자적인 합의 알고리즘 사용. 보다 분산화에 초점.
토큰 공급량 총 1,000억 개 발행. 대부분이 이미 배포되었으며 리플사가 다량 보유 중. 총 500억 개 정도. 유통량은 계획적으로 소각되며 점차 줄어드는 구조.
운영 구조 민간기업 Ripple Labs에서 운영하며 상업적 성격이 강함. 수익 추구 기반. 비영리 재단 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에서 운영. 공익 목적 강조.
중앙화 논란 리플사가 XRP의 많은 물량을 보유하고 있어 ‘중앙화’ 비판을 받음. 스텔라는 더 분산된 구조를 지향하며 비교적 ‘탈중앙화’ 성향이 강함.
대표 파트너 산탄데르 은행, SBI 리플아시아, Tranglo 등 주로 글로벌 금융기관 IBM, MoneyGram, Tempo 등 글로벌 송금 및 IT 기업과 협업
규제 리스크 SEC와의 소송 경험 있음(2020~2023). 법적 불확실성 리스크 존재. 스텔라는 지금까지 큰 규제 이슈는 없었음. 비교적 안정적.
시장 평가 기관 친화적, 대형 금융 솔루션 특화. 규제가 정리되면 성장 여지 큼. 개인 사용자의 글로벌 송금 솔루션으로 평가받으며, 실용성 강조됨.